문제를 풀면서 잊어 버렸던 것들을 정리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R 인덱스 레지스터 : 주소변경, 서브루틴 연결, 프로그램의 반복회수 카운트 온라인 실시간 처리는 트랜지스터가 나온 2세대 컴퓨터에서 개발됨 가상 기억장치는 4세대에서 개발 메모리주소레지스터 : MAR이라고 부르며,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하는 R 메모리버퍼레지스터 : MBR이라고 부르며, 기억장치로 읽혀지거나 기록할 자료를 임시로 기억하는 R 보수기는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 부호기는 제어장치가 주기억장치에서 꺼내온 명령어를 해독해주는 장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데이터 레지스터라고 하나, 연산결과에 대한 부호(기호 또는 +- 상태를 뜻하는 것 같음. 내 뇌피셜)를 기억하는 레지스..
현재 컴퓨터 작동 방식의 기원 폰노이만이 제안 프로그램내장방식을 제안. 이는 주기억장치에 저장해두었다가 명령어를 수행하는 방식 들어가기 앞서 논리 소자란? AND, OR, NOT 같이 논리적인 연산을 하는 장치 (전기회로가 여기에 포함) 세대 논리소자 주기억장치 특징 1세대 진공관 자기드럼장치 기계어 사용, 하드웨어 중심 2세대 트랜지스터(TR) 자기 코어 운영체제 도입, 온라인 실시간 처리, 고급언어 개발, 다중 프로그램 3세대 집적회로(IC) 집적회로 OMR, OCR, MICR, MIS 도입 시분할 처리 (요청을 돌아가며 처리) 4세대 고밀도집적회로(LSI) 고밀도집적회로 개인용PC등장, 마이크로프로세서(MPU) 5세대 초고밀도집적회로(VLSI) 초고밀도집적회로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패턴인식, 퍼..
입출력 장치란? cpu가 자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읽어들여서, 자료를 코드로 변환해주는 장치 => 입력장치 반대의 경우 => 출력 장치 1. 입력장치 - 키보드 - 마우스 - 스캐너 - 바코드 판독기 - 라이트펜 (그림그릴때) - 광학마크판독기( OMR, Optical Mark Reader ) / 빛으로 마크 인식하는 장치 - 광학문자판독기(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 / 빛으로 문자 인식하는 장치 - 자기잉크문자판독기 (MICR, Margnetic Ink Character Reader ) / 자기잉크로 문자 인식하는 장치 2. 출력장치 - 모니터 - 프린터 - 플로터 (프린터 상위호환) 3. 보조기억장치 (입출모두 가능한 점 때문에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모두로 불..
시작하기 앞서, 아래 모든 글은 책 시나공(2021)이 출처임을 밝힙니다. 1. 중앙처리 장치의 정의와 구성 - 중앙처리장치란 (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 컴퓨터 시스템에 부착된 모든 장치 제어 & 명령 - 제어장치 + 연산장치 + 레지스터 2. 제어장치 (Control Unit : Control Login Unit : 제어논리장치) - 컴퓨터에 있는 모든 장치 동작을 지시, 제어 - 제어장치가 제어하는 과정 : 주기억 명령레지스터(IR)에 명령 저장 해독기(Decoder) 번지해독기(간접주소를 직접주소로) 부호기(Encoder : 명령신호 생성) 1,2,3 => 인출단계 (Fetch) 4 => 간접단계 (Indirect) 5 => 실행단계 (Execute) 인터럽트단계 ..
시작하기 앞서, 해당 내용은 시나공 2021 개정판 내용을 정리한 것임을 알립니다. 1. 컴퓨터란 : 전자자료처리스템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 EDPS) - 전기로 된 자료(Data)를, 일정 순서(program)에 맞춰 처리하는 시스템 -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처리되기도 하므로 자동자료처리시스템 (Automatic Data Processing System : ADPS) 이라고도 함 * 자료 (Data) 와 정보 (Information)의 차이를 잘 구분해야함. 자료는 날 것이나, 정보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만한 형태로 가공 된 자료를 뜻함 2. 컴퓨터 특징 - 대용량성 : 많은 자료 보관 - 범용성 : 여러 용도 - 호환성 :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돌..